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우주창조의 만트라
- 제감법(制感法) 프라티하라(pratyahara)
- 산야스 (Sannyas)
- 크리야의 계보
- 크리야 요가(Kriya Yoga)'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 그리스도 예수
- AUM)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안내
- 고전산책
- 비파리타 카라니 무드라(Viparitakarani-mudra)
- 신과의 신비적인 합일
- 송과선 청소 크리야 요가 기법
- 드룬발로 멜키세덱
- 집중법(集中法) 다라나(Dharana)
- 지축이동설
- 크리야 수행의 핵심(The Keys of the Kriya Path)
- 솔페지오 주파수(Solfeggio frequencies)
- 오리지널 크리야(Original Kriyas)
- 임종 전에 수행하는 크리야 기법
- 크리야요가 기초
- 20 Kriyā 비전
- 가야트리만트라
- 대사 카비르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 아멘 (OM
- 해탈과 반야지혜
- The HOLY BIBLE(성경) : 크리야(Kriya)의 빛
-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
- 잡아함경(雜阿含經)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94)
크리야 요가(Kriya Yoga) 수련소
환생의 증거(Evidence of Reincarnation) 그대는 보게 되리라. 그것을 보면 그대는 모든 것을 보게 되리라. 끝없는 통찰력과 생(生)과 사(死)의 윤회와 대자유의 경지를.., - 티벳의 성자 밀라레파- ☞ 윤회 사상(輪廻, 산스크리트어: संसार Saṃsāra, 영어: reincarnation) 윤회(輪廻)는 일정한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사람은 그 깨달음, 경지 또는 구원된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이 세상으로 재탄생한다는 교의 또는 믿음이다. 윤회의 교의에 따르면, 이 세상에서 겪는 삶의 경험이 자신의 발전에 더 이상 필요치 않는 상태 또는 경지에 도달할 때 비로소 이 세상으로의 윤회가 끝난다. 불교 · 힌두교 · 자이나교 · 시크교 등의 주로 인도에..
참 자아(眞我)에 대한 깨달음 참 자아에 대한 깨달음의 첫 걸음은 죽음을 초월하는 영적인 세계를 향한 성취이다. 인간은 불멸의 존재이며 어쩌다 보니 제한적인 물질의 세계에 갇혀 지낸다는 것을 말로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경험해서 참되게 이해해야만 한다. - 청결한 의식으로서 정체를 확립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강한 바람으로 물위에 떠있는 배가 흔들리듯이 배회하는 감각들 중에서 단 하나에라도 마음을 뺏기면 우리의 지혜는 멀리 사라지느니라"- 바가바드 기타 2, 67 - 그렇기 때문에 감각을 완벽히 통제하는 제감법(制感法 프라티하라)의 수련은 필수적인 것이다. 물질 세계는 환영과 같고 감각을 자극하는 육체적인 쾌락은 변덕스럽고도 도취적(陶醉的)이어서 끝없는 갈증을 느낀다. ..
'위대한 과학자 신부 3인의 삶과 업적' 샤르댕 연구회 '위대한 과학자 신부 3인의 삶과 업적' ▨ 유전학 창시자 - 그레고어 요한 멘델 신부 (Gregor Johann Mendel, 1822~1884,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요한 멘델 신부는 오스트리아의 작은 마을 하이첸도르프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멘델은 1843년 브륀(체코 브르노)에 있는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에 입회했다. 멘델은 기상학, 물리학, 수학 등 과학 공부를 자유롭게 했다. 19세기 초 오스트리아는 과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지던 때였다. 멘델은 25살에 사제품을 받고 빈대학에서 물리ㆍ수학ㆍ생물ㆍ화학 등을 공부했다. 1854년부터 멘델은 10여 년간 수도원 뒤뜰에서 완두콩 유전실험에 몰두했다. 그는 키가 큰 것과 작은..
디야나(Dhyana) - 정려(靜慮), 선정(禪定) 20크리야 비전의 마지막 디야나(Dhyana 禪定)행법은 자기내면을 살피고, 성찰하여 자신의 내면으로 침잠해 들어가 '정(定), 삼매(Samadhi 사마디, 황홀경)'에 이르는 기법이다. ※ 주의하실 점 크리야 요가는 수행자의 내면으로 진입되는 진보된 수행법입니다. 영적으로 둔감한 사람들이 있지만 반면에, 영적으로 예민한 정서를 지닌 사람이 지도해주는 스승(구루, 마스터)도 없이 혼자서 이 기법들을 수행한다면 내면의 잠재의식의 세계로부터 돌출되는 의식의 장애(業: 카르마, 業報: 상스카라)와 신체질환(병)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 주십시요. 카테고리 '크리야 요가 기초' 16가지 행법과 '20 크리야 비전'에 이미 설명 되었고, 차후 설명 될 ..
10. 링가 산찰라나(Linga sanchalana) - 유체유도 산스크리트어 링가 산찰라나(Linga sanchalana)의 링가(Linga, Liṅgam)는 '독특한 상징' , '본질을 인식할 수 있는 기호'를 의미하고 산찰라나(Sanchalana)는 '유도’, ‘전도’를 의미한다. 링가(Linga, Liṅgam) & 요니(Yoni) 링가(Linga, Liṅgam)는 힌두교에서 시바 신을 상징하는 남근상에 대한 명칭으로 생식력의 상징으로 숭배되기도 한다. '링가'는 인도 전역의 시바 신전과 가정의 사당에 중요한 숭배 대상으로 모셔져 있고 사람 모습을 한 시바 신의 형상은 그다지 널리 숭배되지 않는다. 여성의 성기를 상징하는 '요니(yoni)'는 시바 신의 배우자인 샥티 여신의 상징물로 쓰이고 있고, ..
9. 스와루파 다르산(Swaroopa Darshan) - 진아(眞我)의 비전 크리야 20 비전 가운데 다라나 행법 9번째 스와루파 다르산(Swaroopa Darshan)은 산스크리트어로 '참자아에 대한 비전(the vision of your Self)'을 의미한다. 이 기법을 수행함으로서 수행자는 자신의 거짓자아를 발견하고 참자아를 관상할 수 있게 되어 과감히 거짓 행위를 끊어버릴 수 있는 비전을 제시받는 것이다. ※ 주의하실 점크리야 요가는 수행자의 내면으로 진입되는 진보된 수행법입니다. 영적으로 둔감한 사람들이 있지만 반면에, 영적으로 예민한 정서를 지닌 사람이 지도해주는 스승(구루, 마스터)도 없이 혼자서 이 기법들을 수행하여서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의식의 장애(業: 카르마, 業報: 상스카라)와 신..
가야트리 만트라(Gayatri Mantra) - 우주 창조의 에너지 만트라 크리야 요가 수련에 필요한 만트라 가야트리 만트라(Gayatri Mantra) Om..... Om..... Om..... (옴..... 옴..... 옴.....) Om Bhur Bhuba Swa (옴 부흐 부흐바 스바하) Om Tat Sabitur varanang (옴 타트 사비트르 바레~니얌) Bhargo Devasya dhimahi (바하르고 디에바샤 디히마히) Dhiyo yona Prachodayat (디히요 요 나 뿌라쵸~다야) 《Kriya - Finding the True path》 ←
힌두 경전(經典) & 철학 사상(思想) 및 사조(思潮) 항상 제자 의식에 잠기고자 힌두 경전과 철학 사상과 사조를 올려봅니다. 현대에 이르러 힌두들이 '힌두는 하나'라는 인식을 더욱 지니게 되었지만 본래 힌두교는 너무나도 다양한 종교적 형태가 동시에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같은 종교라고 지칭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나의 힌두라는 의식은 18 C 이후 서구 제국주의에 자극받아 자신들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시작한 데에서 출발하였는데 다양성을 바탕으로 유지되어 온 인도 사회의 다수 구성원들이 스스로 힌두라는 공통의 뿌리를 가지고 있다고 믿게 됨으로써 생긴 것이다. 그 과정에서 그들 스스로가 공유하는 구체적인 뿌리로 꼽은 것이 바로《베다》, 《우파니샤드》,《바가바드 기타》,《라마야나》 ,《마하바라따》등의 경..
종자만트라 옴(OM) ▷ 옴(OM, AUM) 문자 위의 그림에서 옴문자는 4개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림의 하단에서 상향으로 이어진 각성위, 몽면위, 숙면위의 곡선들은 구별화한 인간 의식(영혼)에 대한 전이(轉移) 측면의 의식수준을 나타낸다. ① 각성위: 외계를 대상으로 하는 깨어있는 상태로서 일반적인 세계를 의식하는 영역에 해당된다. ② 몽면위: 인간의 자아는 미세한 것들을 대하며 기억에 담아두고 각성상태의 경험들을 토대로 새로운 형태의 세계를 만들어 내는데 영혼은 육체의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성향이 있다. ③ 숙면위: 꿈이 없는 숙면상태의 영역으로서 꿈도, 의욕도 지니지 않는 이 상태를 수숩티(susupti)라고 한다. 이때 영혼은 일시적이지만 브라흐만과 하나가 되는 지복을 ..
8. 웃탄(Utthan) - 쿤달리니 각성(raising the Kundalini) 산스크리트어 웃탄(Utthan)의 웃(Ut)은 '올라간다', 탄(tan)은'뻗는다', '확산'을 의미하고 쿤달리니를 일깨우는 행법이다.(raising the kundalini) ※ 주의하실 점 크리야 요가는 수행자의 내면으로 진입되는 진보된 수행법입니다. 영적으로 둔감한 사람들이 있지만 반면에, 영적으로 예민한 정서를 지닌 사람이 지도해주는 스승(구루, 마스터)도 없이 혼자서 이 기법들을 수행한다면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의식의 장애(業: 카르마, 業報: 상스카라)와 신체질환(병)이 발생될 수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 주십시요. 카테고리 '크리야 요가 기초' 16가지 행법과 '20 크리야 비전'에 이미 설명 되었고, 차후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