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잡아함경(雜阿含經)
- 크리야의 계보
- The HOLY BIBLE(성경) : 크리야(Kriya)의 빛
- 오리지널 크리야(Original Kriyas)
- 송과선 청소 크리야 요가 기법
- 드룬발로 멜키세덱
-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
- 20 Kriyā 비전
- 그리스도 예수
- 가야트리만트라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 집중법(集中法) 다라나(Dharana)
- 제감법(制感法) 프라티하라(pratyahara)
- 크리야 수행의 핵심(The Keys of the Kriya Path)
- 솔페지오 주파수(Solfeggio frequencies)
- 지축이동설
- 임종 전에 수행하는 크리야 기법
- 대사 카비르
- 오리지날 크리야(Original Kriyas) 안내
- 신과의 신비적인 합일
- 고전산책
- 우주창조의 만트라
- 크리야 요가(Kriya Yoga)'
- 크리야요가 기초
- 아멘 (OM
- 산야스 (Sannyas)
- 파라마한사 요가난다
- AUM)
- 해탈과 반야지혜
- 비파리타 카라니 무드라(Viparitakarani-mudra)
- Today
- Total
크리야 요가(Kriya Yoga) 수련소
요가(Yoga)의 8단계 본문
⊙ 요가(Yoga)의 8단계
◎ 요가(Yoga)의 8단계
요가란 말은 범어(梵語: Sanskrit)로 결합한다는 어원(語源)인 유즈(yuj)에서 시작되었으며, 마음을 긴장시켜 어떤 특정한 목적에 상응(相應) 또는 합일(合一)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인도에서는 육파철학(六派哲學), 즉 베다(Veda)를 중심으로 하는 미만사(Mimms 聲論派)와 베단타(Vedanta 吠檀多派), 논리적 특징을 중시하는 니아야(Nyaya 正理論派)와 바이세이시카(Vaiseisika 勝論派),《우파니샤드 Upaniad》를 중심으로 하는 상키아(Smkhya 數論派)와 요가파(瑜伽派)로 발전하였는데 당시의 모든 학파는 그 실천방법으로서 요가를 수련했다.
약 5,000년 전의 유물로 추정되는 시바 신상(Siva 神像)에서 요가의 기본자세인 결가부좌(結伽趺坐)를 볼 수 있다. BC 1000년경에 지어진《바가바드기타 Bhagavadgita》에는 요가의 종류와 실천 방법이 적혀 있고, 4세기경 파탄잘리(Patajali)가 쓴《요가경전 Yoga-stra》에는 요가의 수련과정을 8단계로 체계화하여 설명했다.
인도에서 요가의 기원은 6,000~7,000년 전의 인더스문명 시대까지 올라가며, 그 수행법(修行法)은 인도 아리안 종교에도 영향을 주었다. 고대의 바라문교나 불교에서도 요가를 실천하였는데 이후 종교대가와 성현들을 배출하면서 여러 가지 유파(類派)로 발전하여 수행 방법과 철학의 방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한다.
박티요가(Bhakti yoga) - 감정 순화에 의한 헌신의 요가.
즈냐나 요가(Jnana yoga) - 이성개발에 의한 지식의 요가.
라자 요가(Raja yoga) - 심리적 통제에 의한 심신과학의 요가.
카르마 요가(Karma yoga - 사회활동에 대한 행동규제의 요가.
탄트라 요가(Tantra yoga - 욕정(欲情) 통제에 의한 육신해방의 요가.
하타 요가(Hatha yoga) - 음양조화에 의한 심신조화의 요가.
쿤달리니 요가(Kundalini yoga) - 신경영역을 개발하는 요가.
만트라 요가(Mantra yoga) - 발성 통제를 통한 성축(聖呪) 요가.
대자연(대우주)은 변화 · 조화 · 안정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며, 인간(소우주)의 심신의 변화도 이 자연의 흐름에 따르기 때문에 대우주와 조화를 이루려는 활동, 즉 생명현상이 끊임없이 일어나며, 요가의 수련과정은 모두가 정신력을 개발하고 육체를 강화하는 목표를, 평형상태의 유지와 조화에 두는 것이다. 요가의 수련은 도덕적인 통제를 우선한다.
* 제1 단계: 금계(禁戒, 야마yama) - 불살생(不殺生) · 성실(誠實) · 부도(不盜) · 정결(貞潔) · 불탐욕(不貪慾)등의 5가지 계율로 사회적인 규범.
* 제2 단계: 권계(勸戒, 니야마niyama) - 청정(淸淨) · 만족(滿足) · 학습(學習) · 고행(苦行) · 헌신(獻身)의 5가지 가르침이다.
1, 2단계는 도덕률(道德律)로서 심신의 안정을 위한 요가 수련의 기본과정이다.
* 제3 단계: 좌법(坐法, 아사나asana) - 요가체조를 말하며, 동작을 취할 때 호흡을 일치시키고 자극이 미치는 곳에 정신을 집중. 즉, 호흡 · 동작 · 정신집중이 삼위일체가 되는 심신통제이다. 인체의 기둥인 척추(脊椎) 전체를 자극해서 신경의 통제를 받는 각 기관의 활동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체위가 주가 되며, 긴장과 이완(弛緩)의 리듬을 원리로 한다. 수의근(隨意筋)을 활용해서 내장기관과 같은 불수의근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모든 체위가 야생동물과 자연 창조물들의 모양을 본뜬 것이 대부분이다.
요가체조의 종류는 그 목적에 따라 강화(强化) · 균형 · 정미(整美) · 조화 · 자연 · 음성(音聲) · 수정(修正) · 교정체조 · 태양예배(太陽禮拜)체조 등이 있고, 실시 요령은 준비 · 본(本) · 정리운동 · 휴식의 순서로 한다.
* 제4 단계: 조식(調息, 프라나야마pranayama) - 생리작용의 통제, 정식(正食) · 호흡법 등을 수련하는 과정이다. 숨을 들이쉬면서(吸息) 우주의 정기(精氣, 프라나prana)를 섭취하고 지식(止息 숨 멈춤)하는 동안에 그것을 자기화(自己化)하는 특수한 호흡법으로 정기, 즉 우주의 에너지를 축적해 두었다가 신경활동의 영양소로서 공급하는 것이다.
프라나는 사고(思考) · 행위 · 감정 등의 활동에 의해서 소모되는 것으로서 끊임없이 보급하고 대량 비축해 두어야 한다. 인간은 생명활동에 필요한 이 힘을 우주에 충만해 있는 정기, 즉 천기(天氣 태양의 힘) · 지기(地氣 - 물과 흙의 힘), 그리고 천지간의 빈 공간을 가득히 채우고 있는 기운, 즉 공기(空氣 눈에 보이지 않는 힘) 등에서 기체 · 액체 · 고체 상태로 흡수하여 원동력으로 쓰이기 때문에 호흡과 섭생(攝生)에 따라서 생명현상이 좌우되는 것이다. 호흡요령은 우선 흡식한 다음에 오랫동안 능력에 맞게 숨을 참고 있다가 길게 내쉬고, 다음 호흡의 주기(週期)가 시작되기 전에 휴식(休息)하여 호흡의 흐름을 차단했다가 다시 흡식하는 것이다.
호흡할 때의 시간배정은 흡식⑴ : 지식⑷ : 호식⑵의 비율로 하고, 다음 호흡의 주기가 시작되기 직전에 5초 이상 휴식하면서 복부(腹部)를 강하게 수축(收縮)시키고 횡격막(橫隔膜)을 위로 밀어 올려서 내장체조(內臟體操)를 일으키고 복부의 압력(腹壓)을 높여서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요가의 호흡을 구성하는 요소는 흡식(吸息)과 호식(呼息), 그리고 지식과 휴식(止息 · 休息), 이외에도 좌우측 코(鼻孔)를 바꾸면서 교호(交互)로 호흡하는 방법, 그리고 기관수축(氣管收縮) · 복부수축 · 항문수축 등의 행법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용히 좌정(坐定)하여 호흡하거나 여러 가지 형태로 자세를 바꾸면서 하기도 한다.
요가호흡법은 모든 수련과정의 핵심이다. 그 중 지식법이 중심과제(中心課題)로서 지식하는 시간을 수련과정중 능력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연장해 나가야 한다. 초보 과정에서는 조용히 눈을 감고 호흡을 하지만, 상급 과정으로 가면서 눈을 반쯤 뜨고 특정대상물, 예를 들면 어떤 점(靜點) · 촛불 · 코끝(鼻尖) · 양미간(兩眉間) 또는 인체 내의 내분비선이 위치하는 부위를 응시(凝視) 또는 응념(凝念)하면서 호흡하는 것이다.
제4 단계에서는 신체를 정화(淨化)하기 위해서 위장 · 구강(口腔) · 비강(鼻腔) · 내부근(內部筋) · 안구(眼球) · 뇌(腦)를 청정(淸淨)케하는 여러 가지 행법과, 감식(減食) 및 단식(斷食) 등을 수행한다.
제3, 4단계는 육체적 통제이다.
* 제5 단계: 제감법(制感法, 프라티아하라pratyahara) - 이 과정은 인간의 감각기능 중에서 선천적 중추(先天的中樞)인 간뇌(間腦)와 후천적 중추인 대뇌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며, 소위 육감 · 본능을 지배하는 간뇌의 개발에 중점적인 수행을 한다.
인간은 감각기관(五官)의 속박(束縛) 때문에 또는 그릇된 감수(感受)에 의해서 진아(眞我)와 우주의 본체(本體)를 정관(正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감각 기관에 대한 자극을 차단하고 그 실상(實相)을 바로 보기 위해서 심신의 휴식을 얻자는 것이다.
조용한 곳에서 호흡법을 실천하거나 심산유곡에 들어가서 수도생활을 하는 등 인공동면(人工冬眠)과 같은 소극적인 방법과 언제 어디서나 적응력을 높여 심신의 평정을 구하는 적극적인 방법이 있다.
제6, 7, 8단계(總制: 사미아마, samyama)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로 제감법을 실천하고 요가 수련의 최상급 과정인 총제(總制)에 임한다.
* 제6 단계: 다라나(dharana - 응념凝念 또는 집지執持) - 어떤 소리나 물체, 또는 신체의 특정부위 등을 대상으로 하여 그 대상에 마음을 결부시키는 종제(綜制)로서 정신집중 또는 정신통일이라고 해석한다.
* 제7단계: 디아나(dhyana 瞑想) - 대상을 초월해서 무념(無念) · 무상(無想) · 무심(無心)이 되어 정려상태(靜慮狀態)가 되는 행법으로, 제6 단계를 대상물에 정신을 통일하여 긴장을 극대화(極大化)시키는 양행법(+行法)이라고 한다면, 명상은 대상을 초월해서 심신을 이완(弛緩)시키는 음행법(-行法)에 해당한다.
* 제8 단계: 사마디(samadhi) - 요가수행자(요긴yogin 瑜伽師)가 정각(正覺)의 경지에 도달한 구루(guru 法師)의 가르침에 따라 또는 정견(正見) · 정사(正思) · 정행(正行)으로 각기 다른 수많은 수행법을 실천한다.
수련과정을 통해서 심신의 평형으로 모든 대상을 벗어나서 무조건(無條件) · 무대립(無對立)이 되어 완전자유 대우주의 본성(本性)을 깨닫게 되는 견성(見性), 즉 최후의 목표도달하게 되는데, 이 경지(境地)는 소우주인 내(眞我)가 자연(대우주)과 하나로 통일되는, 즉 신아일치(神我一致)의 경지(境地)에 도달함이다.
'크리야 수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야트리 만트라(Gayatri Mantra) (0) | 2013.07.23 |
---|---|
힌두 경전(經典) & 철학사상 (0) | 2013.07.19 |
종자 만트라 옴(AUM) (0) | 2013.07.18 |
라히리 마하사야(Lahiri Mahasay) (0) | 2013.04.18 |
그리스도 바바지(MAHAMUNI BABAJI) (0) | 2013.03.11 |